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코로나를 기회로 더 성장할 미국 회사 주식?

    가즈아 투자 2020. 4. 5. 04:36

    많은 기업들이 지금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경제 타격으로 힘들어 하고 있습니다. 특히 많이 타격을 입고 있는 쪽은 요식업, 숙박업, 여행, 카지노 등등이 있습니다. 항공사를 예로 들어 보자면 이미 항공 노선에 50%에서 많게는 거의 90%까지 줄인 상황입니다. 주가 또한 많게는 80%이상 빠진 주식도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이 사태가 기회가 되서 더욱 더 성장할 산업이 많이 보입니다. 예를들면 온라인 교육, 스트리밍, 클라우드, 게임, 온라인 비지니스 등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기업들은 보자면 넷플릭스, 디즈니,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있습니다. 


    사람들이 집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니 집에서 시간 때울 것들이 필요합니다. 아마 평소에 관심 없던 것도 하고 그러지 않나요? 저도 평소에는 시간도 없고 돈도 아까워서 안보던 Netflix를 보게되고 집에서 운동은 해야겠으니 유투브가서 운동을 배우기도 요리를 배우기도 합니다.

    기사를 읽다보니 구글이나 페이스북에 광고 수입이 많이 줄것이다 라고 예상한 기사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날 페이스북 주식이 폭락 하기도 했었습니다. 과연 그렇게 많이 줄어들까요? 물론 산업에 따라 광고 지출을 할 수 없을 정도로 힘든 기업이 있는 반면 온라인에 기반을 둔 회사들은 더 광고비를 늘려서 소비자들을 유혹 할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요즘 많이 보이는 광고들도 게임, 디즈니+, 아마존 광고들이 많이 보입니다. 다 지금 발판을 삼아서 앞으로도 더 잘나갈 기업들 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현재 세계 1등 주식


    최근에 마이크로소프트가 급 반등을 했습니다. 물론 기업이 좋아서 오른 것도 있지만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마소에서 제공하는 많은 서비스들이 사실 이번 코로나에 덕을 많이 보기 때문입니다. 북미나 유럽 대부분에 지역에서 재택근무를 하게 되면서 사내 채팅방이나 비디오콜을 해야되는 일이 많아졌습니다. 지금은 보안 문제가 터진  Zoom 또한 이 때문에 주식이 많이 올랐습니다. 많은 사람이 모를수도 있지만 마이크로소프트 또한 팀 채팅이나 비디오콜에 꽤나 큰 마켓 쉐어를 가지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  Teams 이라는 채팅 서비스는 마이크로소프트에 서비스를 사용하는 기업이라면 많이 사용해왔으나 이번 코로나를 계기로 유저가 엄청나게 늘었다고 합니다. 최근 발표에 따르면 하루에 900 million 미팅과 콜이 일어 났으며 44 million 액티브 유저가 있다고 발표 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스카이프 또한 가지고 있는데 스카이프도 전화 사용량이 220%가 늘어났다고 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클라우드 서비스 Azura 아주라 ~


     마켓에서 2등이며 매 분기 마다 조금씩 간격을 좁히고 있습니다. 아래 보시는 것 처럼 아마존은 2018년 대비 거의 점유율이 안올랐지만 마이크로소프트는 2.5%나 증가했고 매출은 60% 넘게 올랐습니다


    source - https://www.canalys.com/newsroom/cloud-market-share-q4-2018-and-full-year-2018


    마이크로소프트는 최근에  GITHUB  와 NPM을 인수 하였습니다. 두 회사는 컴퓨터 개발을 안하면 모르실 수도 있지만 없어지면 당장 전 세게가 거의 원시시대로 돌아갈 만큼 엄청난 파급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보고 사용하는 거의 대부분에 웹사이트들을 적어도 한개 이상에  NPM에 있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 있고 코드 또한  GITHUB에 저장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 기업들을 2개나 인수 하다니 정말 무슨 큰 그림을 그리고 있는지 상상이 안가내요. 애플 처럼 뭔가 벗어 날 수 없는 생태계를 만들어서 큰 돈을 벌 것 같습니다.

    영어이긴 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가 왜  NPM을 인수 했는지 개인적인 생각을 적어 둔 글도 있습니다. 구글 번역기로 한번 돌려보세요

    보러가기


    캐나다에서 TFSA로 주식하기 전에 TFSA에 대해서 알아보기


    아마존 

    아마존 프라임

    저는 개인적으로 경제에 도움이 되는 인간은 아닙니다. 돈을 정말 안 쓰기 때문이죠. 그래서 아마존에서 뭘 산적도 많이 없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바이러스로 집에만 있다보니 아마존 프라임 등록을 하게 되었고 정말 엄청나게 많은 것들을 샀습니다. 한국에 사시는 분은 아마 웃겠지만 아마존 프라임 전에는 기본 4일정도 였습니다. 하지만 아마존으로 사면 하루 이틀 정도면 집앞에 도착해 있으니 이제는  이 사태가 진정 되어도 아마 아마존 프라임이 없는 때로 돌아갈 수 없을 것 같습니다. 과연 저만 그럴까요? 대부분이 좋은걸 경험하면 다운 그레이드는 할 수 없습니다. 유지하거나 더 좋은 걸 선택하죠. 이 사태 이전에도 아마존 프라임이 미친듯이 성장하고 있었는데 다음 발표때 보면 아마존 프라임 가입자 수가 정말 상상을 초월하지 않을 까 예상해 봅니다.


    아마존 웹서비스(AWS)

    많은 사람이 보통 E-commerce 회사로 만 알고 있지만 위에서 보신것 처럼 아마존 AWS는 33% 정도에 점유율을 가진 클라우스로는 세계 1등인 기업입니다. 아래에 AWS를 사용하는 기업들을 예로 넣어 봤습니다. 


    Aon, AdobeAirbnb, Alcatel-Lucent, AOL, Acquia, AdRoll, AEG, Alert Logic, Autodesk, Bitdefender, BMW, British Gas, Baidu, Bristol-Myers Squibb, Canon, Capital One, Channel 4, Chef, Citrix, Coinbase, Comcast, Coursera, Disney, Docker, Dow Jones, European Space Agency, ESPN, Expedia, Financial Times, FINRA, General Electric, GoSquared, Guardian News & Media, Harvard Medical School, Hearst Corporation, Hitachi, HTC, IMDb, International Centre for Radio Astronomy Research,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TV, iZettle, Johnson & Johnson, JustGiving, JWT, Kaplan, Kellogg’s, Lamborghini, Lonely Planet, Lyft, Made.com, McDonalds, NASA, NASDAQ OMX, National Rail Enquiries, National Trust, Netflix,  News International, News UK, Nokia, Nordstrom, Novartis, Pfizer, Philips, Pinterest, Quantas, Reddit, Sage, Samsung, SAP, Schneider Electric, Scribd, Securitas Direct, Siemens, Slack, Sony, SoundCloud, Spotify, Square Enix, Tata Motors, The Weather Company, Twitch, Turner Broadcasting,Ticketmaster, Time Inc., Trainline, Ubisoft, UCAS, Unilever, US Department of State, USDA Food and Nutrition Service, UK Ministry of Justice, Vodafone Italy, WeTransfer, WIX, Xiaomi, Yelp, Zynga and Zillow.

    source - https://www.contino.io/insights/whos-using-aws


    스트리밍을 하는 큰 기업인 Netflix, Disney, Comcast, Spotify는 다 아마존을 쓰고 있내요.


    AWS는 사용하는 만큼 돈을 내는 구조라서 아마 Netflix가 이번에 아마존에 큰 선물을 줄 것 같습니다. 


    재미로 보는 매출 


     Netflix: $19 million

     Twitch: $15 million

     LinkedIn: $13 million

     Facebook: $11 million

     Turner Broadcasting: $10 million

     BBC: $9 million 

     Baidu: $9

     million ESPN: $8

     million Adobe: $8 million

     Twitter: $7 million

    ref - https://www.contino.io/insights/whos-using-aws


    아마존 트위치 

    아마존에 자회사중 하나가 트위치 입니다. 트위치는 게임 방송을 위주로 하는 회사입니다. 요즘은 게임 말고도 그냥 이야기 하는 방도 있고 많이 있더라고요. 


    스팀 주식은 없어서 아쉽지만 위와 같은 기사를 통해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최근에 게임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물론 게임을 즐기는 사람들은 자기가 하는 게임 스트리밍을 자주 보기도 합니다. 고로 트위치에서 엄청나게 많은 서버 파워를 필요로 할 것이고 그돈은 아마존으로 또 가는 것이죠. 또 보시면 클라우드 서버 투자 동반 보이시나요?


    디즈니

    디즈니 주식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언급한 회사중에서 디즈니가 지금 엄청나게 힘든 상황인것은 맞습니다. Disney에 주력 수입원 중 하나는 디즈니 월드와 영화 입니다. 네 지금은 디즈니 월드에서 오는 수입은 없고 빚덩어리로 전락 했습니다. 또 영화는 개봉이 다 밀려서 언제 개봉 할지도 모르죠. 거기다 원래 가진 빚도 많기 때문에 엄청 장기화가 되면 버틸수 있을까 걱정도 되긴 합니다. 하지만 디즈니 스트리밍 서비스가 미친듯이 성장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북미에서는 몇몇 직종 빼고는 거의다 WTF(재택근무)를 합니다. 애들도 학교를 못가기 때문에 항상 집에 있어야되죠. 애들이 계속 방해하면 일을 못하기 때문에 애들에 정신을 빼놓을 수단이 필요합니다. 애들이 Netflix를 볼까요? Disney+를 볼 가능성이 더 큽니다. 물론 다 그렇지 않을 순 있지만 주변에서도 꽤나 많이 구독 했더라고요. 

    또 깨알 같이 인도에 런칭을 했더라고요. 일년에 20불 정도 한다고 합니다. 여기는 거의 90불인데 많이 싸내요. 


    https://techcrunch.com/2020/04/02/disney-plus-india-launched-netflix-amazon-prime-video/

    디즈니 플러스에 포함 되있는 녀석들


    디즈니(DISNEY) 주식을 사는 이유


    넷플릭스

    스트리밍하면 넷플릭스를 빼놓고 이야기 할 수 가 없습니다. 이전에는 디즈니 소속 작품들도 스트리밍 했었는데 디즈니가+를 만들면서 디즈니 소속 영상들은 다 중단 되었습니다. 아마 디즈니가 말 꺼내기전에 준비하고 있었겠지만 그때 부터 넷플릭스 오리진날을 찍어내기 시작 했었죠. 넷플릭스는 다른 영화 회사들과 다르게 감독이랑 팀에게 펀딩만 해주고 터치를 거의 안한다고 하내요. 그래서 이렇게 퀄리티가 높은 작품이 많이 나오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https://news.newonnetflix.info/features/what-are-the-best-netflix-original-tv-series-right-now-19th-september-2018/


     가장 최근에 나온 대작이 위처가 아닐까 싶습니다. 정말 주변에서도 넷플릭스 없던 애들도 넷플릭스 구독 열풍에 참여하기 시작했습니다. 가장 많이 시청한 시리즈로 2019년 마지막 분기에 8백8십만 구독자를 새로 늘렸다고 하내요. 새로운 구독자가 거의 서울 인구 급이니 정말 엄청나내요


    https://www.usatoday.com/story/tech/2020/01/21/netflix-adds-8-8-million-new-subscribers-now-has-100-m-outside-us/4490819002/


    최근에는 넷플릭스가 유럽에서 비디오 품질을 낮춰서 말이 많았습니다.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이 집에서 동영상 시청을 하니 어쩔 수 없는 결정이 였을 것입니다. 유럽은 잘 모르겠지만 미국이랑 캐나다 저번주 기준으로 실직자가 1000만이 넘습니다. 정말 안타깝고 가슴이 아픈 일이지만 그 사람들중 많은 사람은 넷플릭스를 보게 되겠죠. 



    많은 사람들이 유투브에서 말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정말 코로나 이전과 이후는 정말 많이 바뀔 것 같습니다. 100% 재택근무를 하던 회사는 거의 없었지만 적어도 토론토에서는 100% 재택근무를 하고 있고 많은 기업들은 재택근무가 코로나 이후에도 가능한지 많이 평가하고 있을 것입니다. 물론 100% 재택은 안되겠지만 늘릴 수는 있다고 봅니다. 회사 입장에서는 오피스 크기도 줄일 수 있고요. 저의 회사만 하더라도 한달에 월세가 4천만원정도 됐던걸로 알고 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과 구독 감사드립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